본문 바로가기

증권·주식 이야기

고리 1호기 원전 해체 승인, 500조 글로벌 시장 개척의 신호탄

반응형

고리 1호기 원전 해체 승인, 500조 글로벌 시장 개척의 신호탄

 

국내 첫 상업용 원전인 고리 1호기의 해체가 2025년 6월 26일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최종 승인을 받았다. 가동 47년 만에 시작되는 이번 해체 작업은 12년간 진행되며 1조 713억 원의 비용이 투입된다.

 

이는 한국이 원전 건설부터 해체까지 전 주기 기술을 확보하는 전환점이 되며, 500조 원 규모의 글로벌 원전 해체 시장 진출의 교두보로 평가받고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원전 해체 방법
2. 원전 해체 경제적 파급효과 및 시장 전망
3.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

 

 

1. 원전 해체 방법

부산 기장 고리 원전 1호기 해체는 ㅇ래4단계로 진행된다.

  1. 사용후 핵연료 반출(~2030년) : 부지 내 별도 저장시설 건설 후 연료 이동
  2. 비방사성 구역 해체 : 비오염 설비 철거(3년 예상)
  3. 방사성 구역 해체(핵심 단계)
    1. 원자로 뚜껑 개방 후 증기 발생기, 열교환기 등 주요 기기 절단
    2. 방사능 유출 방지를 위해 드럼통 밀폐 처리
  4. 부지 복원 작업(2년) : 2037년 완료 목표
반응형

2. 원전 해체 경제적 파급효과 및 시장 전망

원전 해체 경제적 파급효과 및 시장 전망

  • 원전 해체 비용 : 총  1조 713억 원(작업비 8,088억 원, 폐기물 처리 2,625억 원
  • 글로벌 시장 규모 : 2050년까지 500조 원 예상(IAEA 추정)
  • 해체 대상 원전 : 2050년까지 전 세계 600기 이상 해체 예정
  • 한국 기술 보유 : 핵심 해체 기술 96개 확보(한수원 58개, 원자력연 38개)

 

3.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

고리 1호기 해체는 한국이 미국에 이어 대형 상업용 원전 해체 경험을 보유한 두 번째 국가가 되는 의미를 지닙니다. 현재 전 세계 영구 정지 원전 215기 중 해체 완료된 사례는 10%에 불과해 시장 잠재력이 큽니다. 한수원은 2026년 미국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해체 기술 실증을 통해 원전 전 주기 기술 보유국으로 도약할 계획입니다. 성공적 해체는 UAE·체코 등 원전 수출국과의 협력 확대에도 기여할 전망입니다

 

 

 

 

원전 해체 관련주 TOP17 I 테마주, 대장주, 수혜주 - 더체크

원전 해체 관련주 TOP17 I 테마주, 대장주, 수혜주

thecheck.co.kr

 

반응형